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영화
- Movie
- kakao
- 리뷰
- 해설
- 코딩 테스트
- 알고리즘
- BOJ
- Recursive
- 백준
- 추천
- Greedy
- 수능
- Netflix
- 나는솔로
- array
- coding
- 카카오
- 넷플릭스
- 2020
- parametric search
- benefits
- usaco
- health
- 완전탐색
- review
- silver
- Algorithm
- 영어
- BFS
- Today
- Total
목록HTTP (2)
Young

1. HTTP 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정의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.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, 클라이언트-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함. 여기에서 클라이언트는 보통 웹 브라우저(firefox, chrome, internet explorer ... ) 를 말함.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메시지를 통해서 통신하는데,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메시지를 request (요청), 서버가 보내는 메시지는 response (응답) 이라고 함. ※ 여기에서 Hyper Text 란? 웹 페이지는 하이퍼텍스트 문서로, 표시된 텍스트의 일부는 사용자가 웹을 돌아다닐 수 있도록 새로운 웹 페이지를 가져오기 위해 실행(보통 마우스 클릭에 ..

웹 공부를 하면서 TCP/IP 와 HTTP 용어를 보면서 무슨 뜻인지에 대해서 궁금해서 정리해봤다. 우선 네트워크 TCP/IP 4계층 모델을 볼 필요가 있다. - application layer : 리소스에 접근을 허락해주는 역할을 함. - transport layer : 메시지를 유실없이 전달해주게 끔 보증해주는 역할을 함. - internet layer : 패킷이 소스에서 목적지로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함. 이제 각 layer 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프로토콜(약속 또는 규약) 의 종류를 볼 필요가 있다. 어떤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했을 때, 각 계층의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만들지 정해야 한다. 우리가 사용하는 웹(web)의 경우에는 보통 HTTP + TCP +..